9405eca862ef0665ca51d9ae4f834672.jpg


[연합뉴스 2013.10.23] 국제공통어 에스페란토…희망과 고난의 역사 / 김영현 기자


(기사 일부 발췌)

"신간 '위험한 언어'는 에스페란토가 걸어온 고난의 역사를 충실하게 담은 책이다. 독일 역사학자이자 정치학자인 울리히 린스가 저자다. 세계 에스페란토 운동에도 깊이 관여한 그는 에스페란토어로 이 책을 썼다.

그는 '어떤 점이 박해자들을 자극했는가' '에스페란토 운동이 본격화될 때 주변 정치 사회적 환경은 어떠했는가' 등의 질문을 던지며 독자의 관심을 유도한다."

기사 전문보기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3/10/23/0200000000AKR20131023063300005.HTML?from=search


[라이프투데이 2013.10.23]  영어를 대체할 수 있는 공통어는 존재할까? ‘위험한 언어’ / 임가영 기자


(기사 일부 발췌)

"책 ‘위험한 언어’는 국제공통어의 이상을 실현하고 인류의 평화를 도모하고자 창안된 ‘에스페란토’의 100여 년의 역사를 객관적 소개와 명확한 문체, 풍부한 자료들에 근거해 서술한 책이다.


“인류가 소통할 수 있는 패권어가 아닌 언어는 없는 것일까?”


이 질문에 울리히 린스는 국제공통어의 이상을 실현하려 한 에스페란토의 고난과 희망을 기록한 역사를 서술한 책 ‘위험한 언어’로 조심스레 답을 건넨다."


기사 전문보기 http://www.life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599


[서울신문 2013.10.26]  국제 공통어인 에스페란토에 얽힌 희망과 고난의 역사


(기사 일부 발췌)

에스페란토는 ‘만국공통어’라는 아름다운 이상을 내걸었지만, 가시밭길을 걸었다. 좌우파나 동서양을 가리지 않고 숱한 탄압을 받았는데 이유는 다양했다. 


에스페란토 지지자들의 좌파적 성향이 문제가 됐고, 유대주의라는 꼬리표가 붙기도 했다. 정치 상황에 이용당하기도 했다. 서유럽 국가에서는 초기 에스페란토 지지자들이 세계 프롤레타리아트의 통합을 위해 에스페란토를 사용한다고 선언했다가 ‘위험한 공산주의자들’이라고 낙인찍혔다.


독일 정치학자인 저자는 의사소통의 권리가 인권의 하나로 여겨지는 현실에 주목하면서 에스페란토의 미래가 밝다고 말한다.

기사 전문보기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31026018005


[경향신문 2013.10.26]  에스페란토 박해의 역사… SNS를 통제하려는 이유와 다르지 않은 / 황경상 기자


(기사 일부 발췌)

탈린 치하에서 에스페란티스토들은 간첩으로 몰렸다. 탄압의 강약은 다양했고 적들의 유형도 달랐지만 에스페란토 억압자들은 공통점이 있었다. 사람들이 민족·종교·언어를 뛰어넘어 자유롭게 직접 만나 대화하고 의사소통하는 행위를 두려워했다는 것이다. 정보 독점으로 권력을 유지하려는 이들에게 그만큼 두려운 건 없었다.


오늘날 에스페란토 박해의 역사를 읽는 의미는 여기에 있는지도 모른다. 한때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맹비난했다가 이젠 자신들의 목소리로 도배하려고 드는 이들 또한 에스페란토 박해자들과 같은 목적을 지녔을 테다.

기사 전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10252134245&code=960205


[국민일보 2013.10.24]  인류공통어, 그저 꿈일까 / 김나래 기자


(기사 일부 발췌)

분량은 짧지만 중국과 조선, 대만, 일본 등 동아시아에서의 에스페란토 운동을 보여주는 장도 흥미롭다. 다민족 다언어라는 현실이 근대화를 저해할까 우려하던 중국 지식인들은 에스페란토의 전면 도입을 주장했다. 일본의 식민 지배를 받던 조선에서 에스페란토 운동은 진보적인 동시에 구국의 운동이었다.


기사 전문보기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007684757&cp=nv


[동아일보 2013.10.26]  에스페란토를 국제공용어로 만들려는 도전, 세계 곳곳에서 억압받고 배제당한 역사


(기사 일부 발췌)

1887년 폴란드인 루도비코 라자로 자멘호프는 국제공용어를 창안하고 ‘희망하는 사람’을 뜻하는 에스페란토라고 명명했다. 에스페란토를 국제공용어로 만들려는 도전, 그리고 세계 곳곳에서 억압받고 배제당한 역사가 담겼다.


기사 전문보기 http://news.donga.com/3/all/20131026/58470115/1

[한겨레 2013.10.28]  1887년 자멘호프가 창안한 국제공용어 에스페란토 100년의 역사


(기사 일부 발췌)

유럽 9개 언어에서 공통점과 장점만을 뽑아낸, 예외와 불규칙이 없는 문법을 지닌 에스페란토는 인류 공통어를 지향하나 민족주의와 국가주의, 패권어를 추구하는 좌우파 세력에 의해 억압받아 왔다.

기사 전문보기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608665.html


* 갈무리 도서를 구입하시려면?

인터넷 서점> 알라딘 교보 YES24 인터파크 반디앤루니스 인터넷영풍문고

전국대형 서점> 교보문고 영풍문고 반디앤루니스 지에스문고 북스리브로

서울지역 서점> 고려대구내서점 연세대구내서점 그날이오면 풀무질 건국인 책방이음 더북스 더북소사이어티

지방 서점> 경인문고 영광도서 부산도서 충장서림 청년글방

 

* 갈무리 출판사/ 다중지성의 정원의 소식을 메일로 받아보시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

http://bit.ly/17Vi6Wi

 

* 갈무리 저자 블로그 바로가기 : http://galmuri.elogin.co.kr/writerne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150 누가, 바보를 죽였는가 [1] [16] 안똥.. 2009-05-28 4538
149 [함께걸음]“ 마징가 헌터, 평범하지만 특별한 영웅 ” [23] 안똥.. 2009-06-03 8742
148 누가 장애인시설을 필요로 하는가: 광기(狂氣)의 역사 [32] 안똥.. 2009-06-30 4117
147 [전장연_박경석]오세훈 서울시장에게 보내는 공개편지 [25] 안똥.. 2009-07-14 4185
146 지렁이의 꿈트기! 움냐움냐^^ [6] 안똥.. 2009-07-15 5014
145 장애해방과 동물해방(?) [1] [28] 안똥.. 2009-08-10 4380
144 우리가 후원하는 장애인시설, 그 곳에는 아무 문제가 없을까. file [22] 안똥.. 2009-09-06 4250
143 [인권오름] 진보운동에서 용산투쟁의 의미와 방향 [32] 시설인권 2009-09-10 4248
142 제14회 전주인권영화제에 초대합니다. 인권영화 2009-09-22 5418
141 [제14회전주인권영화제] 상영작을 소개합니다. 전북인권교육센터 2009-10-07 4803
140 제1회 노인심리상담사 자격증 관련자료 무료신청,, 자격증클럽 2009-10-14 5012
139 시사/경제 블로그 ㈜보스미디어 [63] 보스미디어 2009-11-17 4776
138 저소득층장학금제도 폐지의 문제점과 대응방향 긴급토론회에 초대합니다. 맑은공기 2009-12-23 8776
137 2010.01.04(월) 09:45 [35] 안똥.. 2010-01-04 4759
136 MBC 다큐멘터리 가장슬픈 이야기 풀빵엄마... [43] 미리내 2010-01-08 5836
135 소녀시대 가창4인방 김혜진 2010-01-27 5380
134 내가 사회복지사가 아닌 이유 [35] 안똥.. 2010-03-03 4269
133 <추노> 속 장애여성이 겪는 이중 억압장치 [46] 안똥.. 2010-04-29 8519
132 [기고글]장애인 탈시설, 탈출구가 막혀있다 [11] 자유로운삶 2010-06-09 4263
131 하루인권영화제 ;쉬고'에 초대합니다. file [1] 설영 2010-06-21 4845

오늘 :
516 / 1,821
어제 :
217 / 702
전체 :
578,099 / 18,869,39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