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하는 일터에서 장애인노동자를 보고 싶다
[중증장애인 일상다반사] 노동자 대회 참가기
2009년 05월 08일 (금) 20:43:02 박정혁 (장애인배움터 너른마당 교장) webmaster@cowalknews.co.kr
   
ⓒ박정혁
엊그제가 노동절이었다. 벌써 119주년이 되었다고 한다. 매년 5월1일이면 메이데이라 부르며 민주노총 주최로 대규모 결의대회와 행진이 이어져 왔다. 올해는 여의도공원에서 행사를 가졌다. 매년마다 그래오듯 올해도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이하 전장연) 등 장애인운동 진영도 이 행사에 동참했다.

푸른 5월의 첫날답게 구름 없이 파란 하늘과 따사로운 햇살이 이 날의 행사를 반기는 듯 했다. 우리 장애인운동 진영도 여의도 이룸센터(장애인개발원) 앞에서 사전대회를 마치고 여의도공원 본 대회에 결합했다. 4만여 명이 넘는 노동자들이 넓은 여의도공원을 매워가기 시작했고 우리들도 맨 앞자리에 자리 잡고 본 대회 행사를 지켜봤다.

특히 올해의 본 대회는 용산 철거민 참사 등 각종 사회문제들과 어울려 그것들을 노동문제들과 결부해 풀어가려는 모습을 보여줬다. 하지만 장애인의 문제는 여전히 뒷전인 것처럼 느껴졌다. 우리 대오를 빼고 어디서도 장애인노동자라고 불릴만한 사람들을 찾아보기 힘들었고 대규모 집회에서 항상 등장하는 수화통역사도 없었으며 중앙무대 역시 높은 계단의 비장애인 전용이었다.

하긴 장애인노동자를 찾아보기 힘드니 이런 노동절 집회에서 장애인은 항상 연대차원에서의 들러리일 뿐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정확히 말하면 장애인노동자들로 구성된 노동조합이 없다는 것이 맞는 표현일 것이다.

상대적으로 훨씬 적은 수지만 장애인노동자는 분명 있다. 가까이는 IL센터 등 장애인단체에서 일하는 장애인들도 장애인노동자일 것이고 중소기업이나 상업이나 농업 등에 고용되어 일하는 장애인들도 존재할 것이다. 또 복지재단에서 운영하는 보호작업장에서 일하는 지적장애인들도 있다.

하나같이 언제 잘릴지 모르는 불안한 상황에서 최저임금도 받지 못하는 노동자 아닌 노동자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물론 장애인의 고용을 촉진하는 정책들도 있다. 하지만 그 정책들의 구조적인 허점들로 인해 제대로 그 힘을 발휘 못 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 삼성과 같은 재벌들은 장애인을 고용하느니 차라리 벌금을 내겠다는 발상으로 매년마다 열심히 벌금을 내고 있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장애인들도 일하고 싶어 한다. 열심히 일해서 그 일에 대한 정당한 대가를 받고 싶어 한다. 일하는 장애인의 수도 많지 않지만 일한만큼의 정당한 대가는커녕 죽어라 일만하고 아무런 대가도 받지 못하는 노동착취의 상황에 놓여있는 지적장애인들도 많다. 또 자신이 수급자라서 일하고 싶어도 수급권이 잘릴까봐 못하고 있거나 비공식적인 편법으로 일한 대가를 받는 장애인들도 있다. 장애인구 중 70%가 넘게 실업자라는 통계도 최근에 발표되었다.

이렇듯 절대 다수의 장애인들이 노동에서 배제된 채 살아가고 있으며 설령 일하고 있는 장애인이라 해도 노동자성을 보장받지 못한 채 노동의 현장에서 노동자 아닌 노동자로 취급받기 일쑤다. 우리는 언제쯤 노동절 무대에서 연대차원이 아닌 당당한 주인공으로 참가할 수 있을까?

노동절 무대에서 청각장애인 노동자들이 수화로 자신의 의사를 비장애인 노동자들에게 당당히 말하고 그것을 수화로 통역하는 모습을,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노동자들이 경사로가 설치된 무대에 올라가 현란한 몸짓과 우렁찬 목소리를 내지르는 아름다운 모습을 내년 노동절에는 이런 모습 한번 기대해 볼까?

안똥..

2009.05.10 20:47:00
*.105.42.61

100% 공감하는 내용이다.
지역 역시 마찬가지이다. 연대라는 의미로 결합하고 있지만 현실적인 거리를 두고 함께 하는 듯 한 느낌을 노동자집회 때 특히나 많이 받는다.
위와 같은 문제의식을 지역 동지들도 조금씩은 느끼리라 생각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able-news]언어장애인 차별문제,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언어장애인 차별문제,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발음·표정 비하하고 무시, 차별하는 경우 많아 토론 통해 법적·실천적 대응방안 마련해야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09-05-14 21:22:54 ▲마포장애인자립생활센터와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총연합회가 지난 13일 ...

[able-news]장애인 원생 성폭행 복지시설 대표 징역 3년

장애인 원생 성폭행 복지시설 대표 징역 3년 전주지법 제2형사부, 지적장애인 진술 신빙성 인정 전북시설인권연대, 성명서 통해 환영의 뜻 밝혀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09-05-12 14:07:12 전북장애인신문 (jbnew119@korea.com)

[함께걸음]순천 인애원 재단 비리 의혹 눈덩이처럼 커져

순천 인애원 재단 비리 의혹 눈덩이처럼 커져 [초점] 이사장 친인척 지나친 개입이 문제의 핵심 2009년 05월 12일 (화) 08:53:13 이태곤 기자 a35270@hanmail.net 사회복지사업법의 한계 드러낸 인애원 사태 정신장애인 복지시설인 순천 인애원 재단이 비리 ...

[함께걸음]장애인복지 지방이양 5년, 지방자치단체 재정부담만 가중돼

장애인복지 지방이양 5년, 지방자치단체 재정부담만 가중돼 ‘지방이양 5년, 지역장애인복지 무엇이 달라졌나?’ 정책토론회 개최 2009년 05월 12일 (화) 08:51:24 윤미선 기자 milkkaramel@hanmail.net ▲ 제16회 한마음교류대회에서 진행된 '지방이양5년, 지역...

[함께걸음]노동하는 일터에서 장애인노동자를 보고 싶다 [1]

노동하는 일터에서 장애인노동자를 보고 싶다 [중증장애인 일상다반사] 노동자 대회 참가기 2009년 05월 08일 (금) 20:43:02 박정혁 (장애인배움터 너른마당 교장) webmaster@cowalknews.co.kr ⓒ박정혁엊그제가 노동절이었다. 벌써 119주년이 되었다고 한다. ...


오늘 :
250 / 996
어제 :
318 / 934
전체 :
574,610 / 18,858,570


XE Login